뉴스레터를 읽던 중 CMA에 대해 알게 되었다.
CMA를 가입하려고 혼자 알아봤던 내용과 유용했던 사이트인데 나만 알기 아까워서 공유하려 한다.
목차
1) CMA 뜻, 장점, 단점
2) CMA 종류 - 발행어음형, 종금형, 환매조건부채권형(RP형),머니마켓펀드(MMF)형, 머니마켓랩(MMW)형
3) CMA 비교 사이트 - 네이버페이
4) CMA 유형별 안전성 비교
1) CMA 뜻, 장점, 단점
CMA 뜻
CMA란 ‘Cash Management Account’의 약자로, 종합자산관리계좌라는 뜻.
자산을 종합적으로, 즉 예금∙주식∙ETF∙펀드∙국채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해 수익을 얻는 구조
CMA 장점
- CMA는 ISA의 장점에 파킹통장의 장점까지 더함. 돈을 넣고 빼는 게 자유로우면서 일반 입출금통장보다 30배 넘는 수익을 이자처럼 매일 줌
- 일반 입출금통장의 이자는 보통 연 0.1%지만, CMA의 수익률은 일반적으로 연 2.5~3.5%, 30배 수준
CMA단점
- 사실상 종금사나 증권사에서만 취급하기 때문에 입출금이 비교적 불편하며, 출금은 ATM에서 자유롭게 되더라도 입금은 ATM에 따라 안 되는 경우도 있다.
- 증권사에서 취급하는 CMA는 확률 자체는 엄청나게 낮지만 이론적으로는 원금을 까먹을 수도 있다.(대한민국 역사상 1번, 1997년)
> 자세한 내용은 나무위키 3.2 단점 챕터 참고
https://namu.wiki/w/CMA
CMA
자산관리계좌(資産管理計座) / Cash Management Account (CMA) '자산관리구좌'(資産管理口座)라
namu.wiki
2) CMA 종류 - 발행어음형, 환매조건부채권형(RP형),머니마켓펀드(MMF)형, 머니마켓랩(MMW)형
1. 발행어음형: 발행어음이란 자기자본이 4조 원 이상인 종합금융회사(증권사)가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약정 수익률로 1년 이내의 만기로 발행하는 어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발행어음형 CMA는 증권사가 자체 발행한 발행어음에 투자해 약정 이자를 매일 받는 상품
신용도가 높아 일반 CMA보다 금리가 조금 더 높다.
수시로 필요한 자금이 아니라 최대 1년까지 자금을 예치할 수 있다면 발행어음이 가장 유리하다. 중도에 인출할 경우 약정 수익률의 50%를 받을 수 있다.
2. 종합금융형 CMA(종금형 CMA):
발행어음형 CMA의 수익 구조와 똑같지만 단 한 가지의 차이점이라면 예금자 보호 대상이라는 것. 결국 종합금융업 인가를 받은 증권사가 발행어음형 CMA를 출시하면 자연스럽게 그 상품에 투자되는 자금은 무조건 5,000만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된다.
2. 환매조건부채권(RP)형: 금융기관 등이 단기 자금이 필요할 때 '일정기간 뒤 일정한 가격으로 다시 사들이겠다'는 조건으로 파는 채권이다.
3. 머니마켓펀드(MMF)형: 고객이 CMA에 넣은 돈을 국공채, 양도성예금증서(CD), 기업어음(CP) 등 단기상품의 묶음인 MMF에 투자해 수익을 얻는 상품이다.
4. 머니마켓랩(MMW)형: 증권사가 고객의 돈으로 한국증권금융(AAA)1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방식이다.
CMA 종류별 수익률 차이는 크지 않지만, MMF형과 MMW형은 운용 결과에 따라 수익이 정해지는 실적배당형이다.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3111415200002494
'금융회사가 알아서 투자해 주는' CMA, 지금 가입해도 될까요? | 한국일보
다시 종합자산관리계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우리에겐 CMA라는 이름으로 더 익숙하죠. 증권사가 고객이 CMA에 넣은 돈을 투자하고, 그로부터 얻은 수익을 고객의 CMA 계좌에 넣어주는 금융 상품
m.hankookilbo.com
3) CMA 비교 사이트 - 네이버페이
네이버페이 금융 사이트에 가면 은행, 증권사가 제공하는 CMA 상품을 한데 모아 보여준다.
수익률과 특징 비교 후 원하는 상품으로 가입하면 된다.
https://new-m.pay.naver.com/savings/list/cma
예적금 비교
new-m.pay.naver.com
4) CMA 유형별 안전성 비교
명시적으로 원금 보호가 되는 종금형 CMA가 가장 안전하다. 그 다음으로 공기업인 한국증권금융이 투자금을 운용하고 이에 대해 원금 지급 의무를 갖는 상품인 MMW형 CMA가 안전하다. RP형 CMA는 증권사가 발행 주체이고 회사채도 일부 편입하지만 자기 자산을 담보로 고객에게 채권을 발행하기에 MMW형 CMA 못지 않게 안전하다. 그 다음에 MMF형, 발행어음형 순으로 안전이 보장된다.
> 나무위키 4.2. CMA 유형별 안전성 챕터 참고
https://namu.wiki/w/CMA
CMA
자산관리계좌(資産管理計座) / Cash Management Account (CMA) '자산관리구좌'(資産管理口座)라
namu.wiki
기본적으로 나무위키에 매우 잘 정리되어 있어서 한번 정독하면 CMA에 개괄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션의류MD로 살아남기]2. 의류 소재 기본 - 섬유, 원사, 조직방식, 원단 (0) | 2025.05.01 |
---|---|
[패션의류MD로 살아남기] 1.패션업 생산방식 - 임가공, CMT, OEM, ODM, 완사입 (0) | 2025.04.30 |
정반합이란? 정반합의 개념과 뉴진스가 보여주는 정반합의 예시 (1) | 2024.08.20 |
중국 테무(Temu) 초저가 전략 스터디 (0) | 2024.04.04 |
노션 기초 단축키 정리 (블록 선택, 토글 생성, 페이지 단축키, 인용 단축키) (0) | 2024.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