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패션의류MD로 살아남기] 5. 섬유의 구분 - 천연섬유, 화학섬유(재생섬유/합성섬유), 폴리에스터, 나일론, 스판덱스(폴리우레탄)

공부

by 피리부는소녀 2025. 5. 4. 12:08

본문

섬유의 구분 - 천연섬유 / 화학섬유

1. 천연 섬유 - 식물성 / 동물성

자연에서 얻어지는 섬유 → 식물성 섬유와 동물성 섬유로 나뉨

1-1. 식물성 섬유

  • 면(Cotton): 가장 보편적 - 식물성
  • 마(Linen): 여름에 많이 사용 - 식물성

1-2. 동물성 섬유

  • 모(wool): 양모, 보온성이 좋음 - 동물성
  • 견(Silk): 광택있고 부드러움 - 동물성

 

2. 화학섬유(인조섬유) - 재생섬유 / 합성섬유

화학작용을 통해 만들어진 섬유 → 재생섬유와 합성섬유로 나뉨

2-1. 재생섬유 : 천연 재료를 화학처리해서 만듦

  • 레이온(Rayon): 셀룰로오스 기반.
  • 모달, 텐셀: 레이온보다 진화된 형태. 레이온과 비슷하나 친환경 이미지

2-2. 합성섬유: 석유 등 화학물에서 완전 인공적으로 만듦

  • 폴리에스터(Polyester): 가장 많이 쓰임. 강도가 좋고 형태 안정성도 굿
  • 나일론(Nylon): 강하고 가벼움. 주로 스포츠, 아웃도어에 많이 사용
  • 아크릴(Acrylic): 울 대체용으로 사용 多. 보온성 굿
  • 스판덱스(Spandex): 신축성이 좋음. (내구성이 낮아) 단독 사용보다 폴리나 나일론에 3~10%정도 혼방으로 많이 사용
    • 스판덱스의 원형은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폴리우레탄은 화학소재 자체임.
    • 스판덱스야말로, 폴리우레탄을 실 형태로 만든 섬유형 제품으로, 어떤 화학회사 제품이냐에 따라 브랜드명이 다름
    • 브랜드별 스판덱스 구분
      스판덱스 제품명 브랜드사 특징
      Lycra® (라이크라) 듀폰(현 인비스타) 스판덱스의 원조. 글로벌 1위 브랜드. 고기능성, 고탄성
      Creora® (크레오라) 효성 (Hyosung) 한국 브랜드. 세계 점유율 1~2위 경쟁 중. 가성비 + 기능성
      ROICA® (로이카) 아사히 카세이 (일본) 고급 기능성 제품군 강점. 지속가능 제품군(ROICA™ EF 등) 보유

[참고]폴리에스터가 많이 쓰이는 이유

  1. 혼방이 쉬움: 면이나 레이온, 스판덱스 등과 섞어 기능 보완이 가능
  2. 기능성 개발이 활발함: 흡습속건, 항균, 접촉냉감, 발열 등 가공을 통해 기능성 원사로 재탄생 가능
  3. 가격대비 성능 우수: 관리가 쉽고 오래 입을 수 있어 패션 산업에서 비용 효율 최고.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