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나는 총 4번의 OPIC 시험을 봐서 IM2 3번 IH 1번을 받았다….

 

1. 기본 영어 실력

영미권은 아니지만 English-Only 학교에서 교환학생으로 있었기 때문에 모든 수업, 과제, 시험 모두 영어로 들음. 그런데도 3번 모두 IM3도 아니고 IM2를 받음.. 매우 좌절 ㅜㅜ

하지만 공통적으로 들었던 피드백이 영어를 말할 때 한 음으로 말한다는 말을 많이 들음..(즉 인토네이션이 없음) 아마 이게 감정표현이 중요한 오픽에서 im2를 받은 결정적인 이유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ㅠㅠ

 

 

2. 난이도 선택

첫번째, 두번째 시험은 난이도 5-5

세번쨰 네번째 시험은 난이도 6-6 으로 설정.

5-5나 6-6이나 차이 많이 없는 건 팩트인 거 같다.

5-5이든 6-6이든 적어도 한 세트는 무조건 돌발 주제가 나올거고, 이때 잘해야 승산이 있다고 생각한다.

 

 

3. IM2 받은 공부방법

이전: 오픽노잼 IM시리즈랑 IH시리즈 보면서 오픽 시험에 대한 이해 + 유용한 표현 & 문장 같은 거 노션에 정리했고 여우오픽으로 실전 모의고사 10까지 연습해보고 갔다.

 

오픽노잼 IM시리즈 재생목록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9Ieg7fw1BJKxNwPU3G2hdpM75nGIwyAB&si=Wv-qN-8acuT4Bw5x

 

오픽노잼 IH시리즈 재생목록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9Ieg7fw1BJJjZLZDllOPO8ekhiruPmXe&si=iwL_Cq2XtjUV1uli

 

여우오픽 모의고사 재생목록

https://youtu.be/-kapDJVUUD0?si=0iM7lUojePgE2R3d

 

4. IH받은 공부방법

후술하겠지만, (IH를 받은) 마지막 시험 전, 내가 세운 공부방향은 발화량을 늘리는 것이었다!

 

이후: 해커스 OPIc Advanced 공략 책 구매해서 설문주제별로 공부를 시작했다.

모든 예상 질문에 대한 답을 외울 수는 없어도, ‘이런 주제엔 대략 이런 답변을 해야겠다’가 머릿속에 정리되어 있으면 더 많은 발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는 im2와 ih를 가르는 중요한 기준은 돌발주제라고 생각해서, 돌발 주제 위주로 공부했다.

특히, 기술, 산업, 명절, 재활용 등 미리 생각해두지 않으면 말하기 어려운 유닛 위주로 공부하고, ‘ 나 이런 단어까지 안다?’를 보여주기 위해 어려운 단어(ex. 반도체: semiconductor) 좀 외워갔다.

 

그리고!!!! ★ 오픽노잼스쿨(오노스) (silver 플랜으로 가입) 가입해서 시간 날 때마다 파잉(Partner-English) 구해서 말하는 연습했다. 회원 대상 강의는 챙겨보진 않았고, 그냥 내가 공부하는 시간에 맞춰 계속 파잉 구해서 공부했다. 이게 발화량 늘리고 문장 다듬는데 진짜X100 큰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종종 AL받은 사람들 만나면, 내가 어떤 게 부족한지 깨달을 수도 있고 공부법을 물어볼 수도 있어서 이래저래 큰 도움이 되었다.

 

꼭 멤버십 구독 안 해도, 시간 맞춰놓고 같이 오픽 공부할 사람 구해서 전화하면서 공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근데 난 그런 수고로움을 하고 싶지 않았고, 무엇볻 공채 뜨기 전 점수가 급했기 떄문에 그냥 구독료 냈다. ㅋㅎ ㅜ

 

공부기간은 당시 인턴중이라 유동적이었는데, 파잉은 시간날 때마다 하루에 1~2번씩 했고, 해커스책은 한 10일 정도 공부했다!!


과연 (모두가 알지만) 시험 결과는? 자세한 시험 복기는.. 2편에서 뵙겠습니다. 🤗

https://jiyeoninmuseum.tistory.com/39

 

[취준일기] 최합은 결국 면접으로 결정된다① - 면접답변정리 방법, 면접스터디 운영방식, 면접

벌써 몇 개월 전에 자소서 작성 TIP을 쓰고,, 4월이 되어서야 올리는 면접 팁쓰지말까 고민했지만 미래의 나를 위해.. 다 잊어버리기 전에 얼른 정리해 보려 한다. 1. 면접 답변 정리 방법 - 단권화

jiyeoninmuseum.tistory.com

면접답변정리 방법, 내가 했던 면접스터디 운영방식, 면접스터디 추천/비추천,  취업컨설턴트 모의면접 등에 대해 작성한 1편이다. 위와 관련된 내용은 윗 글을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

 

각설하고, 유통 경험은 1도 없는 내가, 올리브영MD 경력 지원자를 이기고 최종합격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귀에 들리게 말하기'에 집중했기 떄문이라고 생각한다.

 

3. 면접 TIP - #귀에들리게 #웃는낯에침뱉으랴

유통 경험은 1도 없는 올리브영MD 경험이 있는 지원자를 이기고 최종합격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귀에 들리게 말하기'에 집중했기 떄문이라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면접관은 크게 다르지 않은 지원자와 스펙, 내용을 하루종일 듣고 있었다. 고로 이미 지쳤을 그들의 귀에 내가 말하는 내용이 '들리기만 하면' 이긴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나는 나름대로 3가지 전략을 구사하였다. ㅋㅋㅋ

그리고 나는 이 전략 때문에 유사경험도 없고 스펙이 뛰어나지도 않은 내가 100:1의 경쟁률을 뚫고 합격했다고 생각한다. 

 

1. 말을 시작하기 전에 일부러 휴지를 두어 나를 쳐다보게 만들기

- 특히 최종 면접의 경우 1분의 시간제한이 있었기 때문에 모든 지원자가 굉장히 빠르고 많은 내용을 대답하느라 급급하였다. 이럴 때일수록 내 말이 그들에게 전달만 되면 이기는 게임이기에, '저는-' 으로 말을 시작한 후, 약간 말을 멈추고 면접관이 나를 쳐다보게 만들었다. 면접장에서 1-2초는 꽤 길게 느껴지기 때문에, 노트북에 있던 면접관 시선이 나를 향해 옮겨올 때, 본래 하려했던 말을 이어가는 것이다.

 

2. 중요한 내용(배운점, 내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했던 action)을 말할 때는 일부러 천천히, 스타카토로 말하기(=강조화법)

보통 면접 답변은 아래의 구조로 스토리라인을 만들었다.

 

1) 배운점 한 문장(두괄식 lesson)

2) 상황/문제

3) 해결책(내가 한 action)

4) 결과

5) 그 배운점으로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 

 

이 때 중요한 건 배운점 해결책이라고 생각하였다.

각각 배운점과 해결책에 대해서도 핵심 키워드가 있을 텐데, 이 키워드를 말할 때 일부러 목소리를 크게 or 스타카토로 끊어서 강조하였다. 내 말을 하나도 안 들었을지언정 그 키워드는 면접관 귀에 들리도록 만드는 것이다. 

 

ex. 실제로 저는,(한 숨 고르고) 하루 단위로(스타카토) 어플 내 커뮤니티(크게)에 올라온 글들을 분석하였고 ~~~

 

핵심은, 내 답변의 핵심 키워드를 물흐르듯 말하는 것이 아닌 목소리 크기, 스타카토, 휴지 등 변주를 주어 각인시키는 것이다. 

 

3. 말하면서 계속 미소를 유지하기

면접은 말 잘하는 사람을 뽑는다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내 생각에 면접은 '같이 일하고 싶은 사람'을 뽑는 자리라고 생각한다. 물론, 말을 잘하는 사람이면 같이 일하고 싶을 수도 있지만, 후자가 훨씬 포괄적인 개념이다. 말을 잘해도 왠지 말만 잘할 것 같고 예민한 사람일 것 같으면 같이 일하기 싫은 게 당연하다. 특히 내가 지원한 직무는 협업이 매우x100 중요한 직무이기 때문에, 같이 일하고 싶다는 인상을 주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

 

서론이 길었는데 결국 면접 보는 내내 웃으라는 말이다. (=좋은 인상 주기)

보통 대기업의 경우 다대다(지원자 多:면접관 多) 면접이 많은데, 나와 같이 면접봤던 지원자들은 하나같이 굳은 표정으로 경직되어 있었다. 그러다보니 더 긴장되고, 위축되며 말이 빨라진다. 긴장되는 것은 당연하다. 다만, 웃는 얼굴로 긴장하자는 뜻이다. 계속 밝은 표정으로 & 말을 하면서도 유쾌한 사람이에요를 어필하면 당장 합격시키지 않고선 못 베길 것이다. 

 

흔한 말이지만, 떨어지면 그냥 아저씨1, 아줌마1이니.. 나를 안 뽑으면 너네 손해지 뭐 ~ 라는 마인드로 면접을 즐긴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 같다. (말은 이렇게 하지만 엄청 떨고 준비하면서 스트레스 엄청 받은 사람 = 나)

 

그래도 돌아 보면.. 나름대로 전략도 구상하고 경험정리를 위해 나를 돌아보며, 나 자신과 꽤 친해진 시간이었다.

이 글을 보는 사람이 있다면, 부디 좋은 결과가 있기를 ! 제가 응원하겠습니다 !! 

벌써 몇 개월 전에 자소서 작성 TIP을 쓰고,, 4월이 되어서야 올리는 면접 팁
쓰지말까 고민했지만 미래의 나를 위해.. 다 잊어버리기 전에 얼른 정리해 보려 한다.
 

1. 면접 답변 정리 방법 - 단권화(With 구글시트)

나같은 경우엔 2일 간격으로 면접 2개를 봤어야 했기 때문에 하나의 구글시트에 두 기업의 면접 내용 & 자소서 내용을 정리하였다.
회사별로 시트를 나누지 않은 이유는 어느 기업이든 변하지 않는 내용들(이력사항과 경험사항)이 있었고, 매일 2개 기업의 면접준비를 동시에 준비해야 했기 때문에, A기업가서 B기업 내용 이야기 하는 대참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차라리 연습할 때 최대한 헷갈려하고 실전에서 실수하지 말자는 생각이었다.
 
시트는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1. 공통) 이력정리 -> 학과, 교환학생, 어학 등과 관련된 내용
2. 공통) 경험정리 -> 대외활동, 동아리, 수상 등과 관련된 내용
3. ㅇㅇ기업 자소서 -> 자소서 숙지는 기본이기 때문에, ㅇㅇ기업에 지원할 때 어떤 문항에, 어떤 내용으로 작성했는지 정리하였다. 
4. ㅇㅇ기업 ONLY -> ㅇㅇ기업 특성에 맞는 질문과 답변 내용을 정리하였다. 
5. ㅁㅁ기업 자소서 -> 3번과 이하동문 
6. ㅁㅁ기업 ONLY -> 4번과 이하동문
 
호옥시나 구글 시트 공유를 원하는 사람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길 바랍니다 ! 😚
 
또한, 각 예상질문의 면접 답변은 보통 아래의 구조로 스토리라인을 만들었다.
 
1) 배운점 한 문장(두괄식 lesson)
2) 상황/문제
3) 해결책(내가 한 action)
4) 결과(짧게, 수치로 표현)
5) 그 배운점으로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 → 윗 분량이 많다면 과감히 생략

 

2. 면접 실전 연습 - 모의면접, 면접스터디(친구와/타인과)

혼자 답변을 연습하는 것과 누군가를 앞에 세워두고 연습하는 건 천지차이.
면접은 곧 대화이기 때문에, 결국은 전달력을 키워야 한다.
똑같은 말을 하더라도 외운 내용을 줄줄이 말하는 것보단 말하면서 강조하고 싶은 내용은 일부러 목소리 톤을 높이기도 하고, 질문에 따라 다른 내용을 말하기도 해야 한다.
 

친구와 면접스터디 - 강추

따라서 나는 완벽하게 외우지 않았더라도, 일단은 친구와 모의면접을 준비하며 서로 질문을 주고 받으며 '말하는 연습'을 반복하였다. 우리가 했던 면접스터디는 흔히 하는 기상인증, 기업조사 등 하지 않았고 오로지 '말만 하는 기회'였다.
 
나와 내 친구가 했던 면접스터디 운영방식은 다음과 같다. 
 
1. 서로의 자소서를 보며 드는 의문에 대해 질문한다 (의외로 궁금해 하는 내용이 꽤 비슷하다)
2. 사전에 공유한, 면접 기출 문제를 그대로 OR 변형해서 질문한다
3. 이력서나 경력사항을 보며 질문한다
※ 이때 중요한 건 꼭 시간을 재줘야 한다는 것 (+ 제한시간이 넘으면 과감히 끊어준다) 
※ 듣는 사람 입장에서 내용이 너무 많은지(= 듣기 버거운지) 말해주기
 
나는 기자를 준비하던 친구와 둘이서 면접을 준비했고(그 친구도 나와 동일한 시기에 기자에 합격해 일을 하고 있다), 서로의 답변을 들어주고 이상한 부분은 어떻게 풀어나갈지 함께 고민하며 스토리라인을 정리하였다. 친구와 함께 하기 때문에 경쟁자보단 같은 배를 탄 동료같았다. 
 
 

타인과 면접스터디(모르는 사람과 면접스터디) - 비추

의외로 나는 모르는 사람과 면접스터디는 비추한다. 일단 같은 직무면, 아무래도 경쟁자라고 생각이 들어 서로 건설적인 피드백이 어렵고, 다른 직무일지라도 흔히 말해 '버스타는' 사람이 생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이는 개인적인 의견으로 다른 취준생 친구는 면접스터디에 서 많이 배웠다고 했었다. 그런데 내 경험상 모르는 사람과 함께 하는 면접스터디는 내가 말하는 것보다 들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면접스터디의 핵심은 무조건 말을 많이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시 돌아간다고 하면 같이 취준했던 그 친구와 단 둘이 면접스터디를 계속 진행할 것 같다. 
 
이후, 실제 면접 1주 전 학교 진로센터를 통해 취업컨설턴트와 모의면접을 진행하였다.
일단, 도움이 된다. 무엇보다 또래를 앞에 두고 면접 답변을 하는 것보다 딱봐도 어른 같은(?) 사람 앞에서 말하는 게 생각보다 매우 떨리기 떄문이다. ㅋㅋㅋ 실제 면접 전에, 내가 긴장하면 어떤 습관이 있는지 무엇을 준비해 가야 하는지 알 수 있다.
+ 답변 내용은 틀어진 방향이 아니라면 고쳐주지 않는 것 같았고, 꼬리질문이 굉장히 날카롭고 생각치도 못한 걸 질문하셨어서 도움이 되었다. 
 
 
쓰다보니 글이 너무 길어져서 ㅠㅠ 나머지 면접TIP & 내가 실제로 했던 면접 전략은 다음 글을 참고해주길 바란다. 

[취준일기] 최합은 결국 면접으로 결정된다② - 내가 했던 면접 전략, 실전 면접 TIP - https://jiyeoninmuseum.tistory.com/m/40

올해 하반기 처음 취업준비에 돌입 했고 서류부터 최종합격까지 약 2개월 만에 취업에 성공 하였다. 나름 유명한 중견 유통 기업유통 대기업에 합격하였고 입사까지 한가로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비교적 빠르게 합격할 수 있었던 팁과 나만의 취준 방법을 정리해 본다.

2024년 9월부터 취업준비를 시작하여, 10/17까지 12개 기업에 지원서를 냈고 그중 3개의 기업을 서류 통과했으며 그중 중견 기업은 1차, 2차면접을 거쳐 합격, 대기업은  AI역량검사, 1차, 2차 면접을 거쳐 합격하였다.

요약)
제출 자소서 12개
서류 통과 3개(대기업2, 중견1)
최종 합격 2개(대기업, 중견1)

1. 회사 선택 기준

우선 나는 본격적인 지원에 앞서 2가지 회사 선택 기준을 정했고 그 기준을 충족하는 기업만 지원하였다.

기준1. No 제조업, No B2B
기준2. 내가 들어본, 관심있는 기업일 것

우선 기준 1은 그동안 B2B 회사에서 인턴을 하면서 세운 것이다. 우선 나는 마케팅 쪽을 계속 준비해왔다. 사회 나가기전 마케팅의 전문성에 대해 고민한 결과, 마케터의 전문성 = 도메인에 대한 전문성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내가 배우고 싶은 도메인을 설정 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No제조업. 그리고 보다 넓은 타겟을 대상으로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는 B2C 회사를 지망하였다. (

기준 2는 적어도 내가 애사심이 있어야 주 5일 최소 8시간 동안 머물러야 하는 회사가 즐거운 곳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먼 미래의 이직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네임벨류가 있는 회사 또한 중요한 선택 기준이었다. 무엇보다 나는 문과 이기 때문에, 최대한 좋은 기업(대기업)에 들어가는 것이 앞으로 내가 스타트업으로 이직을 하든 대기업으로 이직을 하든 더 쉽게 내 가치를 증명 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 하였다.


2. 직무 선택 - 메인1 서브2

취준생이라면 모를 수 없는 인싸담당자 YouTube영상을 통해 알게된 방법이다.

나는 1개 메인 직무(마케팅), 2개의 서브 직무(MD, CX)로 설정 하였다. 이렇게 직무를 좁혀 두면 자소서를 매번 다시 쓸 필요가 없다. 무엇보다 면접 준비를 할 때 굉장히 유용하다.

내가 설정한 3개의 직무는 (분명 다르지만) 신입으로써 요구되는 역량이나 활용할 수 있는 경험 등이 비슷하기 때문에 나의 경험을 정리할 때 큰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면접 단계로 넘어 간다면 각 직무에 맞춰 직무와 회사에 맞춰 세세하게 답변을 정리해야 한다. 이건 면접 단계에서 설명하겠다.)

 

3. 자소서 Tip!

이렇게 지원 회사와 직무를 잡혔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자소서를 쓸 차례이다.

약 제출한 자소서는 12개 밖에 되지 않지만, 한 기업당 최소 10시간씩을 할애하였다. 

그 과정에서 얻은 깨달음과 팁을 정리해본다. 

1) 난사 X

사실 서류 단계는 ‘난사’가 정석처럼 여겨지지만 나는 절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우선 그 기업에 대한 분석(not 조사)는 물론 첫 취준이라면 내 경험에 대한 정리도 필요하다. 따라서 막 50개. 100개 기업에 난사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요즘에는 그 기업에 특화된 문항을 요구하는 경우도 많아 난사가 어렵다. (특히 마케팅 직무 지원자라면 더더욱 그렇다.)

만에 하나 난사가 가능할지라도, 자소서의 퀄리티가 절대로 좋을 수 없다.

한 자리 수로 뽑는데 몇 천 명이 지원 하는 요즘, 난사보다는 적당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1~2개의 기업만 지원해선 절대로 안된다)

 

2) 자소서 작성 방법론 익히기(with. 유튜브) 

사실 자소서를 잘 쓰는 방법은 유튜브에 너무나도 많다. 내가 작성 하고 있는 문항 작성법을 YouTube에 검색해 어떤 구조로 작성 해야 하는지를 익히고 그에 맞춰 작성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방법론을 익혔다면 이제 작성 & 수정 !

- 추천 유튜버는 면접왕이형, AND 앤드(전 인싸담당자)  

 

3) 합격자소서 참고하기(with. 링커리어, 잡코리아) 

그리고 나는 막막할 때면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작성했는지 많이 참고하였다. 합격 자소서는 링커리어와 잡코리아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합격 자소서 = 잘 쓴 자소서'는 절대 아니다!! 진짜 엉망인 자소서도 있고 잘 쓴 자소서도 있지만, 남의 자소서를 보다 보면 새로운 영감(?)이나 전개 구조를 발견할 때가 있어, 자주 참고하였다.  


4) 학교에서 제공하는 무료 자소서 첨삭 '적극' 사용하기

나는 학교에서 공짜로 제공해주는 자소서 첨삭도 3번 정도 받아 보았다. (내가 다니는 학교는 한 학기에 5번까지 첨삭이 가능하였다.) 내가 썼다보니 마냥 잘 쓴 것처럼 보이는데, 전문가의 냉철한 피드백을 통해.. 겸손해질 수 있다. ^^ 그리고 지원한 기업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부서는 ㅇㅇ과 애들이 많이 지원한다, 그 회사는 학벌을 많이 본다 등등.. 아! 그리고 첨삭을 받으면서 가장 큰 깨달음은 ‘회사 이름을 가려도 그 회사 지원 동기라는 게 보여야 한다’는 피드백이었다. 특히 가장 중요한 지원동기는 많은 분석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난사 보다는 퀄리티를 높여 합격률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떨어져도 일희일비하지 않기 !!!!

사실 지원서에 '구글에서 인턴했어요' 이정도 스펙은 있어야 눈에 띄기 때문에(컨설턴트님 피셜)

지극히 평범한 우리가 떨어지는 것은 그리 이상하지 않다.

다들 좋은 대학 나와서 열심히 공부하고 동아리하고 대외활동하고 인턴하고.. 너무 상향평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100%합격하는 스펙, 100%합격하는 자소서'는 없다. 따라서, 떨어져도 '그 회사랑 나랑 안 맞았구나' 하고 잊어버리고 다음 자소서를 쓰길 바란다.

 

https://www.bbc.com/korean/53461066

옷을 재활용하기가 어려운 까닭 - BBC News 코리아

패스트 패션으로 인해 해마다 많은 옷이 버려진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더이상 입지 않을 옷을 쓸모있게 만들 방법이 있을까?

www.bbc.com


부산 구제시장에 갔다
어마어마한 양의 옷들이 구제로 팔리고 있었다
몇 십년이 지나도 새 주인을 만나 쓸모를 발휘할 만큼 양질의 옷들이었다

과연 요즘 구매되는 보세 옷도 이렇게 빈티지로 재판매될 수 있을까? 흠 ..

나부터도..
불필요한 옷 소비 줄이고
비싸더라도 양질의 옷을 사서 오래 입는 습관이 필요하다

https://lettercounter.net/

 

글자수세기

블로그 포스팅, 이력서, 자기소개서 작성을 잘 하기 위해서 필요한 글자수세기, 영어 단어수세기, 맞춤법검사기

lettercounter.net

 

자기소개서를 쓰거나 보고서를 쓸 때면 꼭 필요한 게 글자수 세기 기능인데요,

'글자수세기' 를 검색하면 많은 사이트가 나오지만, 

막상 들어가면 광고가 너무 많거나, 글자수 제한이 있는 등 장애물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즐겨찾기 해놓고 쓰는 사이트 소개드립니다~

 

제가 쓰고 있는 유용한 구글 확장프로그램 하나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 Google-Naver 검색 전환] 이라는 프로그램인데요!

 

네이버에 궁금한 내용을 검색했는데, 똑같은 내용을 구글에 다시 검색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유용합니다. 😊

(반대의 경우도 가능합니다. 구글 → 네이버)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1. 네이버에 궁금한 내용 검색

 

 

 

2. Alt + Q 로 화면 전환

 

3. 짜잔! 똑같은 검색어를 구글로 검색했을 때 내용이 화면에 표시됩니다.

 

 

 

해당 크롬 확장프로그램을 다운받을 수 있는 링크입니다!

https://chromewebstore.google.com/detail/google-naver-%EA%B2%80%EC%83%89-%EC%A0%84%ED%99%98/obmbfdidbahkcmmhkdjfpkfbmndcpmdj?utm_source=ext_app_menu

 

 

종종 제가 사용하고 있는 생산성 툴 or 확장프로그램 소개로 또 오겠습니다!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