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생 제 3막의 직업은 '요가'로 하고 싶습니다.

생각

by 피리부는소녀 2024. 2. 28. 17:15

본문

이스탄불에서 요가 원데이 클래스를 즐긴 후 요가의 매력에 빠졌다.

교환학생으로 5개월동안 타지에서 생활하며 크고 작은 고민이나 어려움이 없었다면 거짓말이다.

그럴 때마다 한국에 있는 친구들에게 털어놓을 순 없었다.

장장 8시간이라는 시차도 큰 장애요인이었지만 고통은 나누면 2배라는 생각이 가장 지배적인 이유였다. 

 

그때 어디선가 읽었던 '한숨 호흡법'이 떠올랐다.

큰 숨을 들이쉬고 천천히 내쉬는 행위를 반복하는 의도적인 '한숨'이 스트레스 수치와 몸의 긴장을 압도적으로 낮춰준다는 글이었다.

 

이후로 긴장상황이나 스트레스로 인해 심장이 뛰는 게 느껴지면 한숨 호흡법을 하였다. 

한숨 호흡법이 점차 생활습관으로 자리잡으면서 자연스레 명상과 요가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이스탄불에서 요가 클래스를 듣게 되었고 내 인생 마지막 직업은 요가 선생님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막연한 꿈을 그렸던 것도 잠시, 한국에 돌아오고 시작된 무기력. 

몇 개월을 '도파민'이 가득했던 곳에 있다가 한국에 돌아오니 현실은 4학년 막학기 취준생이었다.

주변 친구들은 어엿한 사회인이 되어 하루를 바쁘게 살고 있었다.

사람들과 만남이 어려워지니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졌고 도피성 잠과 꼬리에 꼬리를 무는 잡다한 생각들로 하루를 보냈다. 

 

무의미하게 유튜브를 보다가 본 영상. 

https://youtu.be/2Eo-hSE7MFs?feature=shared

평소에도 유희를 목적으로 '놀면 뭐하니' 프로그램을 즐겨보지만 이 영상은 다르게 다가왔다. 

음악에 맞춰 몸을 움직이는 출연자들의 모습이 너무나도 즐거워보였다.

한 평생 춤에 어떠한 흥미도, 재능도 없는 사람이었는데 춤을 배워볼까?하는 충동에 휩싸였다.

 

충동적으로 댄스 학원에 가입하기 전, 이 동영상 속 어떤 요소가 '춤'에 대한 관심을 만들었는지 생각해보았다. 

 

그것은 바로! 나이를 불문하고 몸을 움직이는 그들이 표정이 너무 행복해 보인다는 것!

내가 40대, 50대가 되었을 때, 저렇게 행복하게 웃는 무언가를 하고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나를 움직인 것이다. 

 

다만 현실적으로 춤은 아니었다. 그들의 춤을 즐기는 모습을 '보는 것'이 즐거운 것이지, (의도치 않게 춤을 췄던 몇 번의 경험에 비추어) 춤을 즐기는 사람은 아니다. 거울 속 뻣뻣하게 움직이는 내 모습에 얼굴을 붉히다 얼마 안 가 그만둘 확률이 90%였다.  

 

그리고 그 때, 기억 저편에 있던 요가가 떠올랐다.

요가를 할 때 나는 정말 행복했고 외로운 타향살이에 한숨호흡법은 잠시 숨을 고를 수 있는 오두막이었다. 

무엇보다 평소 가동범위보다 훨~씬 넓은 범위로 몸을 움직이며 안 쓰던 근육을 쓴다는 점이 가장 매력적이었다.

몸을 움직이는 삶은 무조건적으로 즐거울 거라는 근거 없는 생각이 든다. 

 

요가 수업에 등록해 일주일에 5번씩 출석을 하고 있다. (방학이라 가능한...)

막연했던 '요가 강사'의 실체도 점차 선명해지고 있다.무엇보다 매 수업마다 내가 더닝 크루거 효과의 당사자임을 여실히 깨닫고 있다. 하하하* 더닝 크루거 효과: 능력이 부족한 사람은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고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현상.

그럼에도 비몽사몽한 몸을 이끌고 요가를 갔다가 '이러다가 정말 죽겠는데?'를 반복하다 돌아오면 '오늘도 해냈다'는 생각에 뿌듯하다.

 

일단은 이렇게 시작하는 걸로 하자.

우선은 요가와 시간을 보내며 친해지는 것부터!

지금은 쌩x100 초보지만, '제 3의 직업 = 요가' 라는 꿈이 진지해진다면 현실화할 수 있는 시간은 얼마든지 남아 있다.

못 할 것도 없지

 

 

한숨 호흡법 관련 기사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1080106.html

 

‘한숨 호흡법’이 명상보다 낫다…5분이면 충분

호흡은 생명을 유지하는 핵심적 신체 기능이다. 생물학적 표현을 빌려 말하자면 우리 몸이 세포 대사 활동의 연료인 산소를 받아들이고, 그 부산물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행위다. 이에 따라

www.hani.co.kr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