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업에 대해 공부를 하다보면 울, 실, 천, 모직, 원사, 섬유, 원단 등 여러 단어들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따라서, 각 단어의 뜻과 구조를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패션 원단을 이해하려면 먼저 ‘털에서 천이 되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를 알아야 한다.
앞서 공부했던, 울이나 알파카처럼 동물에서 얻은 ‘모(毛)’가 코트, 니트, 머플러처럼 우리가 입는 옷감이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섬유 → 원사 → 원단 → 소재’라는 기본 구조가 보이기 시작한다.
Step 1: 섬유 → 원사 (털을 실로 만드는 과정)
- 양모, 알파카모 등 동물의 털(즉, 동물성 천연섬유)을 세척해 불순물을 제거
- 털을 카딩(carding)해서 방향을 정돈 → 쉽게 실로 꼬기 위함
- 여러 가닥의 섬유을 꼬아 ‘원사(yarn)’, 즉 실로 만듦. 이 과정을 방적(spinning)이라고 함
이때 만들어진 원사는 모(毛)의 부드럽고 따뜻한 특성을 유지한 채
옷감이 되기 위한 ‘첫 번째 형태’가 된다.
※ 개념 정리
- 섬유(fiber): 가장 미세한 단위 (예: 모, 면, 폴리)
- 원사(yarn): 섬유를 꼬아 만든 실
- → 실은 길고 연속적인 형태로 옷감 제작의 기본 재료!
Step 2: 원사 → 원단 (실을 천으로 만드는 과정)
- 실을 세로(경사) + 가로(위사) 방향으로 엮으면 직물(woven)
- 실을 고리 모양으로 얽으면 편물(knit)이 됨
- 직물과 관련해서 작성했던 포스팅 참고
→ 이렇게 엮인 결과물이 바로 ‘원단(fabric)’이며, 우리가 입는 옷의 몸체가 된다.
※ 개념 정리
- 원단(fabric): 실을 직조/편직해서 만든 ‘천’
- → 소재의 기본 단위이자, 옷의 전체 질감과 성능을 좌우하는 부분
Step 3: 원단 → 소재 (패션에서 쓰이는 명칭)
패션업계에서는 이 원단을 제품용어로 부를 때 ‘소재(material)’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울 원단을 사용하면 “이 코트는 울 소재입니다”라고 표현한다.
→ 즉, 우리가 흔히 말하는 ‘소재가 좋다’는 말은 결국 ‘좋은 섬유로 만든 실을 잘 짜서 만든 원단’이라는 뜻이 된다.
섬유(fiber) → 실(yarn, 원사) → 천(fabric, 원단) = 소재(material)
이 모든 단계를 거쳐야 비로소 하나의 ‘입을 수 있는 옷감’이 완성된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션의류MD로 살아남기] 11. 재생섬유의 종류 - 레이온, 모달, 텐셀, 큐프라, 아세테이트 뜻 장점 단점 사용되는 곳 (0) | 2025.05.10 |
---|---|
[패션의류MD로 살아남기] 10. 울 종류 - 메리노울과 램스울 장점, 단점, 쓰이는 곳 (1) | 2025.05.09 |
[패션의류MD로 살아남기] 9. 동물성 천연섬유: 견(실크)과 모 종류 - 울, 캐시미어, 알파카 (0) | 2025.05.08 |
[패션의류MD로 살아남기] 8. 염색 방법 - 선염 후염 장단점, 비교 (1) | 2025.05.07 |
[패션의류MD로 살아남기] 7. 염료의 종류(천연염료/화학염료-인디고, 디스퍼스 염료, 산성 염료, 반응성 염료) (1) | 2025.05.06 |